dev_beomgeun
꾸준하게 차근차근
dev_beomgeun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70)
    • 전공 (0)
      • 운영체제 (0)
      • 알고리즘 (0)
      • 자료구조 (0)
      • 데이터베이스 (0)
      • 네트워크 (0)
    • 개발 공부 (32)
      • 웹 (6)
      • 리눅스 (4)
      • 머신러닝 (1)
      • 스프링 (17)
      • Git (2)
      • AWS (2)
    • 개발 도서, 강의 (3)
      •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지향의 원리와 이해 (0)
      •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(김영한.. (2)
      •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 (1)
    • 문제 풀이 (118)
      • 백준 알고리즘 (72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, SQL (38)
      • Hackerrank SQL (8)
    • 프로젝트 기록 (4)
      • 캡스톤 종합설계 (4)
      • 반려하루 프로젝트 (0)
    • 활동 기록 (12)
      • 네이버 부스트캠프 (7)
      • 취준 & 코테 (4)
      •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13기 (1)
    • 이것저것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깃허브
  • 링크드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스프링
  • 일기
  • AI Tech
  • 네이버 부스트캠프
  • 백준 DP
  • 프로그래머스
  • 기록
  • Hackerrank
  • c++
  • 회고
  • 프로그래머스 SQL
  • BFS
  • 서블릿
  • 백준
  • Baekjoon
  • 그래프탐색
  • dp
  • 부스트캠프
  • 반성
  • HackerRank mysql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dev_beomgeun

꾸준하게 차근차근

웹의 동작과 이해(HTTP 프로토콜, URL)
개발 공부/웹

웹의 동작과 이해(HTTP 프로토콜, URL)

2021. 8. 3. 20:52
728x90

 

네이버 부스트 코스 웹 백엔드 과정을 공부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

 

1. 인터넷의 이해

- 인터넷이란 TCP/IP 기반의 네트워크가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어 하나로 연결된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이다.

- 인터넷은 WWW(World Wide Web)이라고 말할 수 없으며, WWW는 인터넷 기반의 대표 서비스 중 하나이다.

ex) WWW이란 인터넷 기반 서비스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기본적으로 80 포트를 사용, 웹서비스 기능에 이용된다.

 

2. HTTP란?

- HTTP란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(통신 규약)이다.

- 보통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요청하고, 서버는 요청에 따라 자원을 전달(응답)한다.

- 이때, 무작정 주고받는 것이 아닌 정해진 통신 규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.

- 어떤 종류의 데이터도 전송할 수 있게 설계가 되어 있다. (이미지, 동영상, 텍스트, 오디오 등등)

 

2-1. HTTP의 작동 방식

- HTTP는 무상태(stateless)로 이루어진다.

- 즉, 서버는 응답 후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끊어버리기 때문에 동일한 클라이언트가 통신 직후 다시 통신해도 같은 클라이언트인지 알 수 없다. 

- 장점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적합하다.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연결을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최대 연결수보다 훨씬 많은 요청과 응답을 처리할 수 있다.

- 단점은 연결을 끊어버리기 때문에,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황을 알 수 없다. 이러한 특징 때문에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쿠키와 같은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.

 

3. URL이란?

- URL이란 Uniform Resource Locator로 인터넷 상의 자원의 위치이다. 

- 즉, 특정 웹서버의 특정 파일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 혹은 주소이다.

ex) http://www.xxxxx.co.kr/docs/index.html = 프로토콜 + 자원이 있는 서버의 IP주소 or 도메인 주소 + 문서의 경로 + 문서 이름으로 구성된다.

 

- http의 요청 메시지

Method : 요청 메서드 (GET, POST, PUT, DELETE 등이 있다)

Path : 요청 URI - 요청하는 자원의 위치

Version of Protocol : 웹 브라우저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버전

 

 - http 응답 메시지

Status Code : 응답 코드

- 100번대 : 정보 - 정보 교환

- 200번대 : 성공 - 데이터의 교환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거나, 이해되었거나, 수락됨

- 300번대 : 방향 바꿈(Redirection) - 자료의 위치가 바뀜

- 400번대 : 클라이언트 오류 - 주소를 잘못 입력하였거나 요청이 잘못되었음

- 500번대 : 서버 오류 - 서버 측의 오류로 올바른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.

 

4. HTTPS란?

- HTTP Secure로 http + 보안으로 http의 보안 버전이다.

- HTTPS 프로토콜을 이용하면 웹 사이트 사용자는 신용 카드 번호나 은행 번호 등 중요한 개인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다.

- 소켓 통신 시 일반 텍스트 데이터가 그대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 SSL(Secure Socket Layer : 보안 소켓 계층)이나 TLS(Transport Layer Security : 전송 계층 보안) 프로토콜을 통해 세션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데이터를 적절히 보호한다.

- SSL을 표준화한 것이 TLS -> SSL == TLS

 

 

출처 : 네이버 부스트 코스 웹 백엔드 과정 강의, 위키 http

https://www.boostcourse.org/web326/joinLectures/28762
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HTTP

728x90
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(새창열림)

'개발 공부 > 웹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ervlet이란?  (0) 2021.08.10
웹서버와 WAS  (0) 2021.08.06
'node'은(는)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. cmd창, vscode 터미널 오류  (0) 2021.02.03
2. VSCode와 Node.js를 통한 환경 설정  (0) 2021.02.03
1. 자바스크립트에 대해서  (0) 2021.02.03
    '개발 공부/웹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Servlet이란?
    • 웹서버와 WAS
    • 'node'은(는)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. cmd창, vscode 터미널 오류
    • 2. VSCode와 Node.js를 통한 환경 설정
    dev_beomgeun
    dev_beomgeun
    백엔드 개발을 하며 얻은 지식과 경험을 공유합니다. 현재 카카오페이에서 백엔드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습니다.

    티스토리툴바